BLOG main image
유용한 정보 알아두기!
임상룡 원장 건강강좌 2006년 3월의 이야기

날씨가 제법 포근해지는 희망의 삼월이 되었습니다.지난호 까지 대략적인 척추 질환의 개요와 종류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대략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드린바 있습니다.하여 이번호 부터는 척추와 연관하여 주요한 병증을 사례로 발생원인과 주요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릴까 합니다.이번에는 컴퓨터의 과도한 사용으로 방생하는 VDT증후군,다른말로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먼저 VDT란 Visual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VDT증후군은 컴퓨터 모니터 등 영상단말기와 함께 키보드, 마우스 등 관련 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때 나타나는 각종 증상들을 말하며 주요증상으로는 어깨결림, 목의 통증, 요통, 두통 등이 있습니다.최근에는 환자들의 자세에서 유래하여 거북목 증후군이 불리기도 합니다.다시 말해 VDT증후군은 바로선 자세에서 양쪽귀의 중심선이 어께 중심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앞으로 나오는 증상을 말하며 흔히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이라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VDT 증후군을 견비통의 범주에 분류합니다. 견비통이란 풍, 한, 습, 담음, 칠정, 어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어깨결림과 팔의 통증을 비롯하여 손목과 목, 등 부위의 통증 을 말합니다. 처음에는 가벼운 통증에서 시작하지만 오랜 기간 방치하게 되면 오십견,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으로 발전하기 쉬우므로 초기에 진찰과 치료를 받는것이 필요합니다.

VDT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을 보면 평소 바르지 못한 자세로 컴퓨터를 사용 한다든지 휴식없이 무리하여 장시간에 걸쳐 작업을 할때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실제로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앞으로 향한 채 구부정한 자세로 앉아있는 모습을 흔히 볼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바른자세로 앉아 모니터를 똑바로 쳐다 보다가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버릇이 생기고, 결국은 자세도 변하게 됩니다.이렇게 머리가 앞으로 향하는구부정한 자세가 계속되면서 척추의 윗부분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목 뒤쪽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게 되면서 피로가 누적되고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주요한 증상들을 살펴보면 우선은 목,어께,팔꿈치,손목이나 손가락 등에 나타나는 통증이나 저림 현상을 들수가 있으며 만성적인 두통,수면장애,식욕부진,우울증,요통,위괘양,고혈압,심장질환등을 동반하기도 하며 평소 별일 아닌것에도 성을 잘내는 경우도 있으며 혹은 안구 건조증을 가져 오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몇가지 예방법을 살펴 보면 우선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것이나 이는 사실상 불가능 함으로 우선은 모니터 주변의 환경 개선과 사용 시간의 조절을 통한 개선의 방향을 제시 해볼까 합니다. 먼저 모니터 주변의 조명을 개선해야 합니다.적절한 밝기의 유지와 모니터 화면에서 반사되는 눈부심을 방지하고 창문에 과도한 햇볕의 투과를 방지 하고(커튼,브라인더) 반사 방지 스크린을 설치 하거나 모니터와 작업자의 눈높이를 조절하여 목이 앞으로 향하게 하기 보다는 약간 위쪽을 향하게 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다음은 한시간정도 작업을 하고 나면 적어고 10분정도는 휴식을 취하는 등의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적절한 운동으로는 배드민턴이 좋으며,작업도중에 눈을 자주 깜빡거리는 동작도 좋으며 수시로 눈을 맑은 물로 씻어 주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것입니다.아울러 컴퓨터 앞에 앉을때는 등에 받침대를 하거나 복근을 긴장시키는 바른 자세의 유지가 중요한 예방법 입니다.

다음으로 VDT증후군에 대한 치료법을 살펴 보면 한방에서는 크게 세가지 정도로 요약이 되는데 먼저 추나요법을 통한 교정치료로 거북목 증후군이 되는 목이 일자로 펴지면서 머리가 앞으로 빠져 나가게 되고 어께가 둥글게 구부정한 모습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추나요법을 통한 직접적인 교정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위치로 회복시키는 방법이 있으며,다음은 한의학의 관점에서 볼때 어께나 목은 스트레스로 인한 심장의 화(火)가 머리로 올가가는 것을 방지 하는 방어벽입니다.따라서 화를 조절고 기혈의 순환을 촉진하는 약물을 통해 풀어진 어께가 다시 굳어 지는 것을 막아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여기에 침구를 써서 경락의 순환를 촉진시켜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http://www.choona.co.kr/zb/zboard.php?id=column&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2&PHPSESSID=bce0febc231313c7e589715a61e3bbb0

Posted by lin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44)
웹사이트 (4)
유틸리티 (1)
투자 (10)
미드 (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달력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